- [Shorts] 컴파일러 & 링커31514컴파일러컴파일러는 구문 분석을 통해 문자열로 이루어진 코드를 기계어로 변환함구분 분석은 의미 분석 -> 중간 코드 -> 어셈블리어 -> 기계어의 과정을 거침위 과정을 거치면 객체 파일(object file)이 생성됨 링커링커는 컴파일러가 생성한 여러 객체 파일을 묶어서 실행 파일을 생성함이 외에도 심벌 해석과 재배치도 진행함
- 2025-02-25 09:35:16
- [Shorts] 프로그래밍 언어의 탄생31514천공에 구멍을 뚫어 CPU의 언어로 코드를 작성함기계어를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단어와 대응시켜 어셈블리어를 만듦인간의 추상적인 표현을 기계가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조건문, 반복문, 구문, 함수 등과 재귀 + 트리 구조를 사용하여 컴파일러를 만듦서로 다른 기계어를 인식하는 CPU들을 위해 가상 머신(인터프리터)를 만들어서 영어와 같이 표준을 만듦
- 2025-02-24 08:43:45
- [Shorts] 윈도우가 디스크에 파일을 저장하는 법31514요즘 백업 업무를 지속적으로 하다 보니, 두 폴더의 크기를 비교할 일이 많아졌다.근데 문득 다음과 같이 크기와 디스크 할당 크기가 왜 서로 다른 지 궁금해졌다.그 이유는 윈도우가 특정 파일을 저장할 때 클러스터 단위로 저장하기 때문이다.예를 들어 클러스터 단위가 4KB라면, 1KB 짜리 파일을 저장할 때도 최소 4KB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디스크 할당 크기가 더 커지는 상황이 발생한다.
- 2025-02-12 15:47:08
- [Shorts] 분산 컴퓨팅에서의 안정성과 라이브니스를 충족하는 방법31514A 노드 B 노드가 있다고 가정해보자.어떤 사용자는 TC(Transaction Coordinator)에게 자신이 하고자하는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메시지를 받은 TC는 A 노드와 B 노드에게 사용자가 하고자 하는 일을 전달하고 확인 메시지를 받을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TC 또는 노드들에 장애가 발생하면 어떻게 될까?예를 들면, TC가 A와 B에게 메시지를 보냈지만 A에게 메시지를 전송하자마자 알 수 없는 이유로 TC에 장애가 발생했다면?그럼 B는 A와 달리 어떤 메시지도 받지 못하게 된다.이런 상황을 안정성에 위반한다고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TC에게 하고자 하는 일을 전달했지만 TC에 장애가 발생하여 A 노드, B 노드 모두 무한정 기다리는 상황이라면?이런 상황은 라이브니스에 위반한다고..
- 2025-02-10 15:55:39
- [Shorts] 스트로우맨 프로토콜31514분산 컴퓨팅에게 요구하는 두 가지 요건1. 안정성 - 잘못된 결과가 일어나서는 안됨2. 라이브니스 - 원하는 결과가 언젠가는 실현스트로우맨 프로토콜(Straw Man Protocol)1. 트랜잭션을 중계하는 코디네이터인 TC에게 A가 B에게 1,000원을 입금하겠다는 요청을 보낸다.2. TC는 A의 은행에게 A의 계좌에서 1,000원을 차감한다는 요청을 보내는 동시에 B의 은행에게 B의 계좌에서 1,000원을 증감한다는 요청을 보낸다.위 프로토콜이 문제가 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1. A의 계좌에 돈이 없을 경우2. B의 계좌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3. 은행 서버에 정전이 발생한 경우4. TC가 중단된 경우따라서 우리는 장애에 내성을 가지는 분산 컴퓨팅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 2025-02-05 09:06:12
- [Shorts] 분산 컴퓨팅의 정의31514분산 컴퓨팅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양한 기계들이 협의 과정을 거쳐 어떤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말한다.비동기적인 통신은 메시지의 전달 여부나 정해진 시각 안의 도달을 보장할 수 없는 통신을 말한다.분산 컴퓨팅에서 비동기적인 통신은 어려운 문제다.비동기적인 통신 방법으로는 분상 컴퓨팅에서 완전한 합의를 이룰 수 없다.
- 2025-02-04 08:40:04
- [Shorts] Stored Function31514Stored Function은 SQL에서 사용하는 함수를 말한다.어떤 RDBMS를 사용하냐에 따라 사용법이 다르므로, 자신이 사용하는 RDBMS 문서를 참고하면 좋다.Stored Function은 언제 써야할까?오늘날 많은 회사가 3-Tier 아키텍처(프레젠테이션, 로직, 데이터)를 채택하고 있다.여기서 로직 티어는 보통 자바 + 스프링, 파이썬 + 장고로 구현되고, 비즈니스 로직을 담당한다.그리고 데이터 티어는 말 그대로 RDBMS, NoSQL 등 데이터를 담당한다.하지만 Stored Function을 사용하여 비즈니스 로직을 구현하게 되면, 두 개의 티어에 비즈니스 로직이 나뉘어지므로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따라서 Stored Function은 util 함수 정도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 2025-01-23 08:34:02
스킨 업데이트 안내
현재 이용하고 계신 스킨의 버전보다 더 높은 최신 버전이 감지 되었습니다. 최신버전 스킨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하시겠습니까?
("아니오" 를 선택할 시 30일 동안 최신 버전이 감지되어도 모달 창이 표시되지 않습니다.)